정월대보름 썸네일형 리스트형 [순창] 순창달달놀이 안녕하세요. 얼마 전 소개했던 순창 지역에서 또 축제 하나를 소개하겠습니다. 아무래도 먹거리의 고장인 전라도, 특히나 순창이라는 지역에서는 먹거리 축제가 많이 개최되는데요. 순창달달놀이라는 이름의 축제는 2024년 2월 24일 하루 개최되는 지역 축제입니다. 그럼 지금부터 순창달달놀이 소개를 시작하겠습니다~! 2024년 2월 24일에 개최되는 순창달달놀이 행사는 순창발효테마파크 일원에서 정월대보름 맞이 행사가 열립니다. 해당 행사에서는 아이부터 어른까지 남녀노소 전 연령층이 함께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들이 진행된다고 합니다! 우리나라 전통 명절 중 하나인 정월대보름의 의미를 되새기고, 한 해의 건강과 풍요를 비는 행사이니만큼 지역 거주하시는 분들은 좋은 의미를 담아 가족과 함께 행사에 참여하신다.. 더보기 [삼척] 정월대보름제 안녕하세요! 오늘도 전국 방방곳곳에서 준비가 한창인 정월대보름 축제 소개를 하겠습니다. 정월대보름은 정말 전국에서 동시 개최되는 듯 합니다. 거주하시는 곳 인근에도 분명 정월대보름 축제가 있을 것 같으니 검색해보시고 축제 참석하시고 좋은 의미를 담은 행사이니 2024년 좋은 일 가득할 수 있도록 참가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. 오늘 소개해드릴 축제는 강원도 삼척지역에서 진행하는 정월대보름 축제입니다. 그럼 지금부터 삼척정월대보름제 소개를 시작하겠습니다~! 삼척정월대보름제는 정월대보름에 실시했던 삼척 특유의 기줄다리기를 주축으로 천신, 지신, 해신에게 소재 초복과 풍년, 풍어를 기원하는 제례행사와 전통민속놀이를 포함한 축제로 1973년 음력 정월보름에 처음으로 막이 올랐다고 합니다! 1976년 강원도 무형.. 더보기 [청도] 정월대보름민속한마당 안녕하세요! 오늘도 축제 하나를 소개하겠습니다. 2월 24일은 정월대보름입니다. 정월대보름을 기념하기 위해서 지역 곳곳에서는 축제 준비에 한창인데요. 지금껏 대구 경북 외 지역의 정월대보름 축제를 소개했다면 오늘은 대구 인근의 청도에서 진행하는 정월대보름 민속한마당 축제를 소개하겠습니다. 우리 가족은 시간만 맞다면 한번 방문해볼 생각입니다! 그럼 지금부터 청도의 정월대보름 민속한마당 축제 소개를 시작하겠습니다~! 정월대보름날 저녁달이 동쪽에서 솟아 오를때면, 사람들은 달맞이를 위하여 뒷동산에 올랐습니다. 한 겨울이라 춥기는 하지만 횃불에 불을 붙여 가지고 될 수 있는대로 먼저 달을 보기 위해서 산길을 따라 뒷동산을 올랐던 것입니다. 동쪽 하늘이 붉어지고, 대보름 달이 솟을 때에 횃불을 땅에 꽂고, 두 손.. 더보기 [양구] 국토정중앙 달맞이축제 안녕하세요! 오늘은 강원도 양구에서 진행하는 축제 하나를 소개하고자 합니다! 곧 다가올 정월대보름으로 지역 곳곳에서 축제 준비를 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. 국토 정중앙이라는 양구에서 진행하는 달맞이 축제이구요. 올해 정월대보름은 2월 24일이니 참고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! 정월대보름 한해서 진행되는 행사다 보니 2월 24일 단일 진행하는 행사입니다. 지금부터 양구 [국토정중앙 달맞이축제] 소개를 시작하겠습니다! 정월대보름을 맞이하여 전통문화의 계승과 함께 한해의 무사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며, 군민 상호간 일체감 및 유대의식 고양을 위한 국토정중앙 달맞이 축제입니다!!! 안전이 보장되는 가운데 즐거운 전통행사의 장을 마련하는 축제인데요. 안전을 보장한다고 하니 가장 중요한 것을 신경썼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네.. 더보기 [서울] 정월대보름 한마당 안녕하세요! 정월대보름이 한달 이내로 다가왔습니다. 전국 곳곳에서 정월대보름 맞이 축제 준비가 한창일 것 같은데요. 오늘은 서울에서 열리는 정월대보름 한마당 축제를 소개하고자 합니다. 아무래도 많은 인구가 있는 서울이다보니 행사 당일 많은 사람들이 몰릴 것 같은데요 더구다나 당일 행사이기 때문에 행사 진행에 앞서 안전과 관리가 중요한 시점인 것 같습니다. 그럼 지금부터 서울 [정월대보름 한마당] 축제 소개를 시작하겠습니다~! 2024년 갑진년 정월대보름 한마당은 민족 고유의 세시풍속인 정월대보름의 의미를 공유하며 대보름 관련 세시풍속행사 체험을 통한 민속 문화 이해에 증진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고 합니다! 새로운 문화도 좋지만 전통 문화 명맥을 이어가고 그 의미를 되새기는 것도 정말 좋으며 중요한 것 같.. 더보기 이전 1 다음